출판사 무제(MUZE)는 배우 박정민(현재 38세)이 대표로 있는 독립출판사로, 2019년 서울 홍대 인근에서 동네 책방 운영을 시작으로 출판사화됐습니다.이후 본격적인 출판사 활동은 지난해 말부터였으며, 현재는 박정민 대표와 이사 1명, 총 2인 체제로 운영 중입니다 .
📚 창업 시기 및 조직 구조
- 2019년: 박정민이 ‘동네 책방’을 운영하며 시작 .
- 2020년: 첫 출간작인 에세이 《살리는 일》 발간
- 2024–2025년: 본격적인 ‘출판사 무제’ 체제로 전환, 직원 2인 체제 운영 ( 참고 https://booksmuze.com/ )
🔝 베스트셀러·매출 분석
- 대표작 《첫 여름, 완주》(김금희 작가, 듣는 소설 시리즈 1권)
- 발표 초기부터 오디오북 우선 제작, 한 달 후 종이책도 출간
- 교보문고 소설 부문 베스트셀러 5위권 유지 중
- 그러나 하루 판매량은 전국 기준 300~500부 수준에 불과해, 이는 출판 시장의 규모를 반영하는 수치라고 박 대표는 언급
- 첫여름 완주 구매 링크 https://link.coupang.com/a/cyYS99
👩💼 인기 작가 및 계약 작
- 김금희: 대표 듣는 소설 작가, 문학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인물
- 향후 계약 완료된 책 포함 9권 규모, 신인 및 중견 문학 작가 위주로 문학 장르에 중심점 .
- ‘소외된 목소리’와 ‘대사 중심 문장’에 강점 있는 작가 선호.
📘 출간 도서 유형 분석
- 에세이: 《살리는 일》 (2020), 《자매일기》 (2024)
- 듣는 소설 (오디오북 우선 제작):
- 《첫 여름, 완주》: 다수 배우 참여, 음향 효과 포함 오디오 드라마 형식
- 기타 예정 포함 약 3권 계약 완료, 문학 중심 연속 출간 계획 .
- 2차 콘텐츠·굿즈: 북토크, 한정판 커버, 전시, 만년필·노트 등 굿즈 출시
💵 매출과 경영 현황
- 하루 300~500부 판매가 하루 매출에 해당, 이는 출판 시장의 현실적인 수치
- 직접 발주, 인쇄, 홍보, 보도자료 작성, 굿즈 기획 등 출판사의 전 과정을 대표가 맡아 진행 .
- 배우 박정민은 “자생 가능한 출판사”로 성장시키기 위해 자본금만으로 운영할 계획
🌱 발전 가능성 분석
- 차별화된 콘텐츠: 오디오북 우선 제작, 배우 성우 참여, 풍부한 음향 디테일이 시장의 니즈와 사회적 가치, 시각장애인 및 청각형 독자 타겟팅을 동시에 충족
- 브랜드 홍보력: 배우 박정민이라는 브랜드, ‘유퀴즈’ 출연으로 대중 노출 확대
- 확장 전략: 북토크·전시·도서전 참여 등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 진행 중
- 니치 시장 공략: 장애인·청각형 콘텐츠 확대.
- 계속되는 문학 중심 행보: 김금희 같은 유명 작가와 연속 계약, 장르 문학 확대 계획
- 제한점: 소규모 조직의 한계로, 마케팅·유통 네트워크 확대와 팀 규모 확충이 과제로 보임.
🧭 종합 평가
항목 내용
창업 배경 | 독립 서점 → 독립출판사 전환 (2019~2024년) |
출간 장르 | 에세이, 듣는 소설, 문학 중심 |
주요 저자 | 김금희, 신인 및 문학작가들 |
매출 규모 | 하루 300~500부 판매, 연간 기준 수천만 원대 추정 |
운영 체제 | 2인 중심 소규모 출판사, 대표가 실무 주도 |
특징 | 오디오북 우선, 사회적 가치 지향, 배우 브랜드 활용 |
발전 가능성 | 강한 콘텐츠 차별화, 확장 가능한 브랜딩·콘텐츠, 조직·마케팅 강화 필요 |
✅ 결론
출판사 무제는 박정민 대표의 배우 브랜드 + 듣는 소설 및 음향 중심 오디오북 콘텐츠로 출판 시장에서 뚜렷이 차별화되고 있으며, 문학성과 사회적 가치(시각장애인 지원)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. 매출 규모는 현재 소규모지만, 콘텐츠 고유성 및 박정민의 홍보력, 굿즈·전시 등의 확장 전략을 기반으로 장기적 성장 가능성이 충분합니다. 다만 팀 규모 확대, 유통·마케팅 전략 강화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입니다.
'궁금해?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「디지털자산기본법」 국회 발의? 디지털 자산기본법은 무엇일까? (8) | 2025.06.14 |
---|---|
10월 10일 임시 공휴일 될까? 최장 10일 황금 연휴 기대 ( 2025년 10월 임시공휴일 ) (15) | 2025.06.13 |
라면값 2,000원 논란 ~ 진짜 라면값은 2,000원 일까? (7) | 2025.06.13 |
최근 뉴스에 나오는 원화 스테이블 코인은 무엇일까? (4) | 2025.06.13 |
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왜 반대 해야 하는가? (16) | 2025.06.13 |